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몇 분 만에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세요.
aws.amazon.com
AWS 는 Amazon의 자회사인 아마존 웹 서비스 사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서비스 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환경을 인프라스트럭처라고 한다.
AWS는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는 다양한 AWS 서비스(기능 그룹)을 제공한다.
소유는 모든 리소스를 기업 안에서 관리하는 방식이다. on-premise(온프레미스) 라고 부르기도 한다.
필요한 컴퓨터 리소스를 모두 구매하고, 구축에서 운영까지 기업 안에서 수행한다.
소유 형태는 초기에 큰 비용이 든다. 운영 또한 직접 담당해야 하므로 이와 관련한 엔지니어도 보유해야 한다.
임대(rental)는 컴퓨터 리소스를 빌려주는 기업과 계약을 맺고 필요한 만큼 컴퓨터 리소스를 빌리는 형태다.
임대 형태는 기본적으로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구축과 운용을 임대 기업에 일임할 수 있다. 초기 비용 역시 비교적 저렴하게 제한할 수 있다.
임대 기간은 보통 1개월 단위 또는 그 이상이며, 컴퓨터 리소스의 증감은 전화나 이메일, 문서로 신청해야하므로 즉시 대응이 어렵다.
인프라스트럭처 장애가 발생 했을때도 임대 기업에 의뢰할 수밖에 없어 복구가 지연될 수 있다.
클라우드(Cloud)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터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지니스를 말한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컴퓨터 리소스를 시간 단위 또는 분 단위로 임대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브라우저 기반의 관리 화면을 제공하므로, 관리 화면에서 조작만으로 직접 필요한 컴퓨터의 리소스를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인프라스트럭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직접 해결하기가 어렵고 클라우드 제공자에게 지시를 내리기도 어려워 그저 대응을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 AWS도 수년에 한번 정도로 큰 장애가 발생한다. 이때 이용자는 기본적으로 AWS 자체 복구를 기다릴 수 밖에 없다.
소유 방식과 비교해 클라우드 방식의 많지 않은 단점 중 하나.
항목 | 소유 | 임대 | 클라우드 |
초기투자 | 매우 높음 | 높음 | 낮음 |
조달 기간 | 수 주 ~ 수개월 | 수 시간 ~ 수일 | 수 분 |
운용 비용 | 매우 높음 | 낮음 | 낮음 |
운영 후 증감 | 어려움 | 약간 어려움 | 간단함 |
독립성 | 높음 | 약간 낮음 | 약간 낮음 |
* 컴퓨터 리소스 확보 방법 비교
클라우드의 장점
1. 고정 비용 -> 변동 비용
2. 규모의 경제
3. 성장을 고려한 용량 예측 불필요
4. 검증 및 개발 기간 단축
5. 데이터센터 유지 보수 불필요
6. 글로벌 전개 가능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
대표적인 3가지
IaaS
인프라스트럭처 부분, 서버나 네트워크를 임대 형식과 마찬가지로 서비스로 제공한다. 구축된 서버에 OS나 미들웨어를 설치하거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등의 작업은 클라우드 이용자가 직접 수행
PaaS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데 필요한 플랫폼 자체를 서비스로 제공. 클라우드 이용자는 해당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만 작성해서 배포한다.
SaaS
클라우드 제공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까지 제공한다. 클라우드 이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만 지불한다.
클라우드 이용자는 인프라와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운용과 개선 작업을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맡길 수 있다.
AWS 제공 솔루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캐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장비 등을 조합해서 만든 하나의 대규모 시스템이다. (Linux, Apache, MySQL, PHP 등)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움직이는 인프라스트럭처를 AWS 기능으로 모두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서버의 안정된 가동이나 갑작스러운 부하에 대한 성능 향상등이 자동 수행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단순히 사용한 부분에 대한 비용만 지불한다.
AI 와 머신러닝
분석, 데이터 레이크
IoT
스토리지
게임 개발